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재테크] 5. GDP성장률로 경제판단

GDP성장률로 경제판단

경제는 주가와 한몸이다

 

 

 

 

 

 

경제가 좋다 나쁘다는 GDP성장률로 판단한다.

주가의 경우 경제가 좋고 나쁨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꼭 알아야 하는 내용이다.

 

 


 

 

GDP성장률(국내총생산)은 한 나라에 최종적으로 생산된 모든 상품이나 서비스를 

시장가치로 계산한 것을 말한다. 

 

GDP성장률 높음 : 주가 강세

GDP성장률 낮음 : 주가 약세

 

GDP성장률이 높다는 것은 생산, 투자, 소비, 소득이 증가하여 경제가 확대된다는 뜻으로

이는 기업입장에서는 매출과 이익이 증가하게 되므로 기업의 가치 상승과 동시에 주가도 상승하게 됩니다.

 

 

 

GDP성장률은 어떻게 표시하나?

 

GDP가 전년동기 또는 전분기에 비해 얼마나 성장했는지를 비교한 것을 백분율로 나타낸다

(물가상승 요인으로 인한 명목적 증가분은 제외)

 

 

GDP성장률과 주가의 관계

- GDP성장률이 높음 > 경제좋음, 주가상승추세

- GDP성장률이 향후 높아질 것으로 전망 > 경제가 좋아짐, 주가상승 할 것으로 예상

- GDP성장률이 낮거나 마이너스 > 경제가 좋지 않음, 주가하락추세

- GDP성장률이 향후 낮아질 것으로 전망 > 경제가 나빠짐, 주가하락 할 것으로 예상

 

 

하지만 나라마다 잠재성장률이 다르기 때문에 GDP성장률만 보고 경제를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잠재성장률이란?

 

한나라의 경제가 보유하고 있는 노동, 자본 등의 생산요소를 모두 활용하였을 때 달성 할 수 있는 성장률을 의미한다. 즉 물가상승을 발생시키지 않고 성장할 수 있는 최대의 생산능력을 뜻한다 (=적정성장률)

 

그렇기 때문에 GDP성장률로 경제가 좋은지 나쁜지 판단하기 위해서는

잠재성장률을 비교한 GDP갭이 필요하다. (GDP갭은 GDP성장률과 잠재성장률의 차이를 말한다) 

 

 

GDP갭 = GDP성장률 - GDP잠재성장률

 

GDP갭 플러스일 경우 : 경제는 호황 또는 획복 국면 = 주가상승

GDP갭 마이너스일 경우 : 경제는 불황 또는 침체 국면 = 주가하락

 

 

[GDP성장률이 잠재성장률보다 낮았던 사건] 

- 세계2차 오일쇼크 사건

- IMF 외환위기

- 글로벌 경제위기

 

현재 우리나라 잠재성장률은 저출산, 고령화(생산인구 감소), 컴퓨터 기술과 인공지능 로봇의 발전 등으로 점차 낮아지고 있다

 

 

 


 

 

 

GDP 성장률은 어떻게 알아볼까?

 

GDP성장률 전망은 국내외 여러 기관에서 하고있으며 경제신문이나 일간지 경제면을 꾸준히 읽어보면 알수 있다

또한 IMF 사이트(www.imf.org)를 통해 한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의 GDP규모, GDP성장률, 물가상승률, 실업률, 국제수지 등 금리를 제외한 모든 경제지표 확인이 가능하다.

 

 

카테고리 중 DATA에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아래와 같이 DATA에 해당되는 카테고리들이 나온다

 

 

 

아래 순서대로 클릭하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s > 최신연도 > By Countries > All Countries

 

 

 

 

 

 

 

 

 

 

Clear All를 클릭하여 모두 선택을 해지한 후 원하는 국가을 선택한 후 조회를 진행하면 된다.

 

 

 


 

 

 

 

 

사실, 조회해보니 눈에 잘 안들어온다ㅋㅋㅋㅋㅋ 아놔.... ㅠㅠ

그래도 언젠가는 편안하게 눈에 들어오는 날이 오겠지!!

 

성격급한 나지만 차근차근 밟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