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재테크] 4. 경기변동과 주가

경기변동과 주가는 함께 움직인다

 

 

 

 

 

경기변동은 주가와 같은 싸이클로 움직이기 때문에 경제적 대세 판단이 중요하며

그 흐름에 맞춰 투자 하는 것이 좋은 수익을 낼 수 있다

 

경제대세에는 투자수익을 내기 좋은 시기이지만 경제하락기에는 투자를 내기 어렵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경제대세 상승기 : 적극적인 투자

경제대세 하락기 : 소극적인 투자 (관망하는 시기)

 

 

 


 

 

 

 

 

 

 

 그렇다면 경기예측은 어떻게??

 

경기순환주기

경기는 회복기, 활황기, 후퇴기, 침체기로 순환한다

길게는 4~5년 짤게는 6개월~1년으로 그 주기는 점차 짧아지고 있다.

 

1. 경기종합지수

한국은행에서 정기적으로 발표하는 지수로 선행종합지수, 동행종합지수, 후행종합지수가 있다

이 중 경기예측에 대표적으로 활용되는 지표경기선행종합지수

 

- 경기동행종합지수보다 약 3~10개월 앞서 움직인다

- 주가도 경기보다 평균 6개월 앞서 움직이므로 주가는 경기선행종합지수와 함께 움직이지만 한발 앞서 움직인다고 할 수 있다. 

 

[경기선행종합지수의 구성]

- 구인구직비율

- 건설수주액

- 재고순환지표

- 소비자기대지수

- 기계류 내수출하지수

- 수출입물가지수

- 코스피지수

- 국제원자재가격지수

- 장단기금리차

 

 

 

2. 기업실사지수(BSI)

기업이 미래 경제상황에 대해 긍적적으로 답한기업수와 부정적으로 답한 기업수의 차를 구한 다음 이를 전체응답 기업수로 나누어 계산한다

(100을 기준으로 그 이상이면 낙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고 그 이하면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뜻)

 

 

 


 

 

 

 

주가, 금리, 경기는 시차를 두고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시차를 두고 움직이는 이유 주가는 경기를 예측해서 한발 앞서 움직이며 금리는 경기를 확인한 후 움직이기 때문이다

 

주가 : 경기보다 선행

금리 : 경기보다 후행

 

2017년 5월 코스피지수가 종전 고점인 2,231포인트를 돌파하여 6년간 장기박스권을 상향돌파하였다

주가가 장기박스권을 돌파하는 것은 대세상승 전환을 의미한다!!